【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 25-05-02 18:55 조회 6 댓글 0본문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방제식 기자]5월 1일 새벽 5시. 어둠 속에서 한 무리의 사람들이 인천 도심 한복판에 모여들었다. 게릴라를 자처한 이들은 손에 총 대신 호미와 씨앗을 들고 있었다. 그들은 왜 스스로를 게릴라라 칭하며 호미와 씨앗을 들고 모였을까?5월 1일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처럼 노동절이다. 메이데이로 불리는 노동절은 전 세계 노동자들이 1889년 8시간 노동제 쟁취를 위한 제2차 인터네셔널 창립대회를 유혈 진압한 데 맞서 대응한 미국노동운동을 기념하며 시작되었다.100여 년이 지나서야 그때 말한 8시간 노동이 정착되고 있다. 그때 노동자들은 이렇게 외쳤다(당시 이건 불법이었다)."기계를 멈추어 노동시간을 단축하자."그런데 5월 1일은 노동절이기만 한 것은 아니다. 언제부턴가 '국제 해바라기 게릴라가드닝 데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4월 초, 지인 J가 퀴즈를 냈다."5월1일이 무슨 날인지 아세요?"나는 당연한 듯 대답했다."노동절이지요.""노동절 말고 다른 의미도 있는 날이에요. 혹시 '국제 해바라기 게릴라 가드닝 데이'라고 들어보셨어요?"이번 동행취재의 계기가 된 대화였다. 이런 날이 있다는 것을 처음 들었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이 시대에 5월 1일을 노동절로만 알고 있던 것이 조금 부끄럽기도 했다. 그럼에도 당시 들을 때는 솔직히 너무 큰 스케일의 이름에 조금 웃기기도 했다. 하지만 그래서 알아보기 시작했다.맙소사. 그런데 이름 하나하나 진지한 의미가 담겨 있었다.국제 : 당연히 국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검색의 범위가 애매해서 chatgpt에게 물어보니 한국을 포함해서 약 30여개 국가에서 이 날을 기리는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문서화 된 것만 이 정도 규모이고, 실제로는 더 많은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다.해바라기 : 왜 해바라기일까? 이것도 주요한 궁금증이었다. 이것저것 찾아본 결과, 해바라기가 게릴라 가드닝의 목적(시민참여, 도시환경개선, 공동체의식고취 등)에 부합하면서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광화문 글판에도 걸리며 많은 사람에게 울림을 준 ‘풀꽃’을 쓴 나태주는 ‘풀꽃 시인’으로 불린다. 나태주는 1971년 ‘대숲 아래서’로 등단한 뒤 50여 년간 시집, 산문집, 동화집, 시화집 200여 권을 낸 작가다. 정지용문학상, 윤동주문학상, 한국시인협회상을 받았다.그가 쓴 <나태주의 풀꽃 인생수업>은 아름다운 그림과 따뜻한 말로 삶의 고단함을 조금이나마 덜어주는 에세이다.책에는 화가 칼 라르손의 그림이 함께 담겼다. 스웨덴 국민화가로 불리는 라르손은 사랑하는 아내, 8명의 자녀와 함께 시골집에서 살며 화목한 가정생활을 했다.그는 이 시절 목격한 소소하고 행복한 일상을 알록달록한 수채화로 기록했다. 사랑과 애정이 듬뿍 녹아든 라르손의 그림에 나태주 시인의 문장이 더해져 독자의 마음을 다정하게 다독여 준다.책은 자존감, 결핍, 인생, 행복, 사랑, 가족 등 열두 가지 주제에 관한 나태주 시인의 깨달음과 어울리는 시구를 담았다. 어린 시절 할머니의 말씀부터 열아홉 살에 처음 교단에 선 날, 담즙성 범발성 복막염으로 죽음의 문턱까지 간 사건 등 저자 인생 전반에 걸친 경험담을 얘기한다.만으로 80년이 넘는 세월을 산 시인이지만 ‘인생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는 “무정의 용어”라고 조심스럽게 대답한다. 나태주는 “불행과 고난이 전혀 없는 삶이 아니라 그럼에도 행복할 수 있는 것이 진정 행복이지 않을까 싶습니다”라고 말한다.저자가 말하는 깨달음은 누구도 얘기해 주지 않는 ‘행복한 삶’을 사는 비결이 아니다. 모두가 서툴고 힘들지만, 그런 고난도 아름다움으로 받아들이고 자신을 너그럽게 용서하며 격려하라는 게 이 책의 요지다.너무 단순한 조언이라고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나태주 시인의 따뜻한 한마디와 라르손의 사랑 가득한 그림을 보고 있으면 ‘행복은 단순함에서 온다’는 말이 떠오른다. 삶이 고달프고 매일 자책하는 독자에게 추천한다. 이 책 한 권을 읽고 행복이 단숨에 찾아오지는 않더라도, 담백한 글귀와 그림을 보고 작은 위안을 얻을 수 있는 책이다.구교범 기자 gugyobeom@hankyung.com
네이버자동글쓰기 네이버상단작업 사이트상위노출 웹SEO 구글상단노출 웹SEO 구글상단노출 웹사이트상위노출 네이버상위노출대행 네이버상위작업업체 네이버마케팅프로그램 네이버상위노출대행 홈페이지상위노출 상위노출 사이트 네이버마케팅프로그램 사이트상위노출 부산헌옷방문수거 구글상단작업 쿠팡배송기사 네이버상위노출 구글상단작업 상위노출 사이트 네이버상단작업 마케팅프로그램 상위노출 네이버상위작업업체 웹사이트상위노출 부산헌옷방문수거 네이버상위노출 디시인사이드자동댓글 플레이스상위 다산동부동산 네이버자동글쓰기 다산동부동산 홈페이지상위노출 상위노출 마케팅프로그램 디시인사이드자동댓글 플레이스상위 쿠팡배송기사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