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작성일 25-10-08 15:33 조회 4 댓글 0본문
콜백서비스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추석 연휴 엿새째인 8일 서울 서초구 잠원나들목 인근 경부고속도로 상(왼쪽)·하행선에 차량들이 통행하고 있다. 2025.10.8dwise@yna.co.kr▶제보는 카톡 okjebo[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 시에라네바다의 오래되고 거대한 빙하가 빠르게 녹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 연구 결과를 보면 지구 가열화에 따라 수만년 된 빙하가 점점 사라져 조만간 ‘얼음 없는 봉우리’가 연출될 것으로 전망됐다.시에라네바다 산맥은 이른바 ‘눈 덮인 산맥’으로 부른다. 시에라네바다는 미국 캘리포니아와 네바다에 걸쳐 남북으로 약 640km에 이르는 거대한 산맥이다.영국 매체 가디언, 미국 매체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등이 관련 내용을 비중 있게 보도했다.관련 연구 결과는 최근 ‘Science Advances’에 발표됐다. 해당 논문을 보면 이 산맥의 빙하는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오래된 것으로 파악됐다. 수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은 물론 일부는 마지막 빙하기까지 그 역사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883년 9월(위)과 2022년 9월 요세미티 국립공원의 이스트 리엘 빙하. 지구 가열화로 빠르게 녹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Israel Russell/미국 지질조사국, Greg Stock/미국 국립공원관리청] 논문은 조만간 펼쳐질 ‘빙하 없는 시에라네바다’는 약 2만 년 전 아메리카 대륙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이래 인류 역사상 전례 없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기후위기 속에서 전 세계의 빙하는 빠르게 녹고 있다. 올해 5월에 발표된 관련 연구 논문을 보면 지구 가열화로 빙하의 약 40%가 녹을 위기에 처해 있는 것으로 진단됐다.현재 지구 가열화가 2.7도까지 높아지면 최대 75%의 빙하가 사라져 해수면 상승과 대규모 인구 이동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미국 서부 지역의 빙하는 19세기 후반 처음 기록된 이후 상당히 줄어들었다. 이번 새로운 연구는 시에라네바다 산맥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코네스 빙하 △맥클루어 빙하 △라이엘 빙하 △팰리세이드 빙하를 대상으로 했다.지구 가열화 속에서도 빙하의 수명이 길다는 특징으로 시에라네바다의 이곳은 미국 서부 지역의 빙하 소멸을 연구하는 ‘지표’가 되고 있다.연구원들은 빙하 주변에서 최근 노출된 기반암을 조사하고 샘플을 채취했다.
콜백서비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