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에 제대로 ○○ 못하면 뇌 3.5년 빨리 늙어”…치매 위험 40% 급증
페이지 정보

본문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불면증이 뇌를 3.5년 더 빨리 늙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만성 불면증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치매나 기억력 저하 증상 발생 위험이 40%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신경과학회 발행 국제학술지 ‘뉴롤로지’에 지난 10일 자로 게재된 미국 미네소타주 로체스터 내과 연구팀의 논문에서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평균 70세 건강한 성인 2750명을 5년 6개월간 장기 추적했다. 참가자 중 16%는 만성 불면증을 앓고 있었다.
연구진은 만성 불면증을 주 3회 이상 잠들기 어려운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로 정의했다.
분석 결과 만성 불면증 환자의 14%가 치매나 경도인지장애(치매 전 단계의 기억력·사고력 저하)로 진단받았지만, 불면증이 없는 그룹에서는 10%만이 같은 진단을 받았다.
만성 불면증 활자들은 사고력과 기억력이 더 빠르게 악화됐는데, 이는 뇌가 3.5년 일찍 늙는 것과 동일한 수준이었다.
특히 검사 2주 전 잠을 제대로 못 잔 만성 불면증 환자들의 인지 능력은 4세 더 나이 든 사람과 비슷한 수준까지 떨어졌다.
뇌 영상 검사 결과, 만성 불면증 환자에게서는 백질 고신호 강도(자기공명영상(MRI)에서 나타나는 뇌의 미세한 혈관 손상)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더 많이 나타났다. 모두 알츠하이머병을 나타내는 대표적 생체 지표다.
반대로 평소보다 잠을 많이 잔 참가자들은 백질 고신호 강도가 적게 나타나 수면 패턴에 따라 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줬다.
연구진은 특히 취약한 그룹도 발견했다. 알츠하이머병 유전 위험 인자인 ‘APOE ε4’ 유전자 보유자들은 만성 불면증이 겹칠 경우 기억력과 인지 기능 악화 속도가 훨씬 빨랐다.
이는 잠 부족이 유전적 요인과 결합해 뇌 기능 저하를 가속화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연구에는 한계도 있다. 만성 불면증 진단을 의료 기록에만 의존해 미진단 사례나 증상 정도가 정확히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
만성 불면증이 치매를 직접 일으킨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강한 연관성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는 설명이다.
“우리집 도마 썩었어요” 추성훈 헛구역질…진짜 위험한 이유
손으로 비빈 카레…기안84 ‘맨손식사’ 정말 괜찮을까?
역대 최고액→찬밥 대우…이승우 “벨기에 이적, 감독이 날 모르더라” 작심 고백
‘한화 레전드’ 김태균, KIA 김도영 가르치게 될까…코치 제안에 “바로 간다”
“하이볼 한 캔 1800원”…가성비 경쟁에 ‘이곳’서 최저가 선보인다
“드럼 세탁기 대신 통돌이 찾는 이유”…전문가가 짚은 결정적 차이
66세 자연임신? 매일 2시간 ‘이것’ 했더니…의사도 놀란 결과
작년에만 ‘매출 90억’ 올린 편의점 효자…“9월부터 판매 시작합니다”
[오늘의 운세] 2025년 11월 6일
[오늘의 운세] 2025년 8월 13일
6m3dl3
관련링크
- 이전글국내 최초 대출중개플랫폼 1위 25.11.24
- 다음글티비착 최신 대체 - 티비착 사이트 - 티비착 포토툰 - xlqlckr 25.11.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